-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 특성생애주기별 인간발달단계ㅣ 태아기, 유아기, 유아기, 아동기,카테고리 없음 2021. 9. 17. 21:30
생애주기별 인간발달단계ㅣ 태아기, 유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 특성
태아기(수정 후~출생까지) 특성정리
- 신생아는 두개골에 6개의 숨구멍이 존재한다. - 수정후 약 280일간 '모' 체내에서 성장 - 태아의 신체기관은 내부기관(심장, 폐) → 중간기관(근육, 골격 등) → 외부기관(눈, 코, 귀, 팔 등) 순으로 형성
ㅁ 태아기의 기간 구분 기간 특징 배종기(배란기) 수정 후 약 2주 동안 - 수정란 형성 - 세포분열 : 임신 후 대략 1주에 이미 시작하여 유기체 세포내층과 외층을 형성한다.ㅁ 내층(포배) : 배아에 발달하는 ㅁ 외층(영양막) : 배아에게 영양공급 및 보호 - 착상 : 수정란이 자궁벽에 위치하는 과정(임신 후 대략 10~14일경에 이루어짐) => 이때 형성된 태반은 모체로부터 산소와 영양물질을 태아에게 공급하여 태아의 복벽(배꼽)과 연결되어 탯줄로 들어오는 혈류를 여과하는 장치 역할을 하여배아기 착상 후 2~8주만에 빠른 세포분열 일어남 - 중요한 신체기관과 신경계가 형성 - 이 시기 발달 방해 O=> 영구적 손상 배아의 내배엽 (내층) : 소화계, 호흡계에 발달 (간, 심장, 폐 등의 장기) - 배아의 외층 ㅁ 외배엽 : 신경계, 감각 계속 성장 극적인 생식기 (귀, 코, 눈 등) 및 피부조직을 형성 (세포의 가장 외적인 생식)- 4개월 지나면 => 태동 느낀다(4개월) 4개월~6개월 사이에 태아 : 손가락, 발가락, 피부 등의 생성, 심장박동규칙적, 정해진 시간에 자고 일어난다 - 7개월 지나면 => 조산시 생존 가능 ↑=> 일반적 6개월 혹은 26주가 지나면 생존 가능 - 생식기관의 극적 분화, 유전자 분비 : 정관과 고환이 분화 올 흡연, 각종 사회 및 기타
ㅁ 대표적인 유전적 요인 묘성증후군도 포함.발달장애 유전적 원인*정상 염색체 : 총 23쌍(46개), 그 구성은 22쌍의 상염색체와 2개의 성염색체(남자는 XY, 여자는 XX)로 구성되어 있다.발달 특성 터너 증후군(X가 1개 부족)-'XX'에서 'X'가 1개 부족한 성 염색체 이상에 생기는 외모는 여성, 이차 성징 못하며 생식 x, 몸이 가늘고 키가 낮은 '여성'만 해당하는 증후군 클라인 펠터 증후군(X가 몇가지 있다)-'XY'중'X'가 더 많아서 생긴다(ex.XXY, XXXY, XXXXY)-여성적인 2차 성징병 은 증후군(21번이 벌써 1개)23쌍의 염색체 중 21번 염색체가 하나 더 한 지능 ↓(40~60), 눈가에 두꺼운 주름에서 눈이 처진다 임신 짧고 두개 뼈 넓고 짧은 손가락 짧은 손은 넓은 머리가 작지만 뒤통수가 납작하고 한판과 둘째 손가락. 사이가 특히 넓은 혈우병(X가 이상, 열성)X염색체의 이상으로 발병(열성(열성)한 신체 이상으로 안구성 유전자 거리 X염색체에 결함이 생겨서 생기는 여성.'남자'가더 많은 얼굴이 길고 당나귀 모양이며 고환이 비대해지는 정신지체, 언어장애, 자폐증 등의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겸상 적혈구 빈혈증 -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유전자 부족으로 생긴 적혈구의 형태가 치(겸상) 상태가 되는 유전적 돌연변이 흑내장성 지진아 안구 진탕, 수정체 혼탁 -> 시력 매우 낮음, 전신 쇠약 증상 2~3세경에 보통 사망 거대 남성 증후군 Y염색체를 더 많이 가지고 발생(ex. XY~> XY'Y') 남성에게만 나타난다.(평균검사는 임산부검사 경향이 낮음) (4~10세 무렵 보통사망 거대남성증후군 Y염색체 포함) (e.XY-5종류 라스틱관을→질을 통해->융모막에 삽입-또는 바늘을→복강을 통해→자궁에 삽입하는 검사법 솜털혈액검사(15~20주) 15~20주-AFP수준을 검사하여 다운증후군의 가능.보통 양수검사, 초음파검사의 경우 이 검사의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풍진감염검사-발진성 급성 피부병변을 수반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
이는 프로이트의 구강기, 에릭슨의 신뢰감에 대한 불신, 피아제의 감각운동기에 해당한다.- 제1 성장 급등기(1개월 ~ 2세) - "몸"과 "뇌"의 급속한 성장 - "타인(개인)"에 대한 개념 형성 - "대인관계"에 대한 기본적 태도 형성 - 생존 반사 (세탁, 젖 찾기, 연하 반사) 및 원시 반사 (바빈스키, 모로, 파악, 걷기, 동공, 수영, 정향 및 찾기 반사)가 나타난다.- 출생 후 2일간 동공반사를 하여 15일이 경과하면 색채식별이 가능하다.-태어나서 1년 이내의 체중이 2~3배 정도 증가한다.-영아는 녹색과 붉은색을 구분할 수 있으나 어른과 같으려면 생후 2개월이 지나야 붉은색, 푸른색, 녹색 모두를 정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 신생아 → 저음에 너무 민감해 고음을 더 잘 듣는다 - 생후 2년 → 꽤 정확한 음 구분이 가능하다.- 생후 2일 : 단맛을 선호하고 - 생후 4개월 : 짠맛을 선호하기 시작한다.-엄마의젖냄새를좋아하며,이는며칠간의경험을통해형성된다.- 안정된 모성 보호는 모성 인물에 대한 기본적 신뢰감을 형성하며 이후 대인관계에서도 안정성을 보인다.반면 불안정 모성 보호는 타인 불신과 이후의 사회화 과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신생아의 사회적 발달은 미소반응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154)ㅁ 생후 1개월 전 → 반사적(무의식적) 미소ㅁ 생후 5주 이후 → 사회적 미소반응 ㅁ 생후 4개월 무렵 → 미소반응이 분화(반사적, 사회적 미소를 구분하여 반응함) ☞ 신생아의 반사운동 생존반사 젖찾기 반사(탐색반사) 입 부근에 부드러운 자극 → 자극있는 쪽으로 입을 여는 반사 반사 반사 반사 반사 반사 반사 반사반사에 닿는 것은 어떠한 것으로도 빠지는지 반사 운동 「횡반사」(놀라움 반사), 「큰 소리가 나거나 놀래키면 등을 구부려 손과 다리를 앞으로 뻗는 행위 반사, 생후 3~4개월에 사라진다.파악반사 손바닥에 물체를 대면 쥐는 행위로 생후 3~4개월만에 의도적으로 잡기가 가능해지고 사라진다.동공 반사 주위 환경의 광선 정도에 따라 동공을 수축, 확장하는 반사 수영 반사 신생아를 줄인 자세로 물에 두려고 하면 헤엄치려고 하는 반사.정향반사 어떤 자극에 대해서 어떤 형태로든 반사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성장함에 따라 점차 정향반사는 변하고 특정 자극에 대해서만 목적 있는 반응을 보이게 된다.걸음마반사 신생아가 그들의 다리를 바닥을 향해 똑바로 들면 걷는 행동을 보이는 반사 유아기(3~6세) 발달 특성
- 프로이트의 남근기, 피아제의 전조작기, 콜버그의 전인습적 수준 - 자기개념과 자기존중감 형성 (→아동기에는 자기존중감이 분화된다.) - 인지성장과 언어발달이 빠른 속도로 진행됨.(3~4세) - 이 시기에 형성된 신체, 인지, 언어, 정서, 사회적 발달은 일생을 좌우한다.- 유아의 놀이와 사고는 직관적, 상징적 타물환론적 사고: 모든 물질은 살아있다 - 자기중심적 사고, 비논리적 사고, 중앙화 경향(전체 속에서 하나의 현상에 초점) ?- 주위의 사물이나 현상에 관심을 갖고 질문의 횟수가 많아진다. (ex. 이것은 왜? ) 그것은 또 왜? 이거 어떡해? - 전환적 사고 : 특정 상황에서 다른 특정 상황으로 뛰어넘어 사고 - 비가역성 : 생각을 되돌리거나 다시 생각할 능력이 없음- 공상: 상상적 친구를 만든다 - 인공론적 사고: 모든 물질은 인간이 만들었다.- 제1반항기(36개월 전후):자기주장적이고 반항적인 행동(3~4세에 절정에 달한다.) →이로 인해 자율성 발달-부모의 칭찬과 제한→기초적 수준의 도덕성 발달(→타율적 도덕성).- 5세 무렵: 직선을 따라 걷고 달리면서 방향 조절과 정지가 가능- 6세 무렵: 영구치 놀이 1~2개 나기 시작- 5세 무렵: 직선을 따라 걷는다.통제는 자의식의 성장에 의해 형성된다.- 5~6세 무렵 : 성역할 정체성 형성·발달(확립은 청년기), 성역할 고정관념 심화, 성안정성과 성항상성 확립, 성유형화 발달ㅁ성 안정성 : 남성은 성장하고 남성이, 여성은 성장하고 여성이 어른이 된다는 사실을 받아들임확립ㅁ성 항상성 : 사람의 행동이나 외모가 달라도 성은 변하지 않음을 인정함(ex. 남자가 여자인 척해도 여자아이처럼 해도 남자아이임.)ㅁ성 유형화 : 자신의 성에 적합한 행동은 빠르게 습득하고 자신의 성에 적합한 대상에게 취향을 보일 것(긍정적인 것은 자신의 것으로 부정적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