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현실로 - 미래 시나리오 2021 자율주행 자동차, 상상에서
    카테고리 없음 2021. 9. 10. 03:59

    2020년 5월 발간한 미래 시나리오 2021에서 자신이 쓴 파트를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두 번째로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책은 경제, 인구, 고용, 산업, 기술, 에너지, 창업, 사회복지, 교육, 식량 자원, 공공 협치 등 11개 분야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김광석(한국경제산업연구원), 김상윤(중앙대), 박정호(명지대), 이재호(카카오 모빌리티)가 함께 썼습니다.

     

    ●자율주행 서비스도 구글이 최고?

    많은 사람들이 자율주행차를 먼 훗날의 일로 생각하지만, 사실 우리 곁으로 벌써 다가오고 있어요. 구글의 자회사인 웨이모(Waymo)는 2018년 12월 미국 애리조나 피닉스에서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자율주행택시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세계 최초인지는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중요한키워드가상용인데돈을받고손님을태워준다는이야기입니다. 웨이모의 자율주행택시 차체는 크라이슬러의 미니밴 퍼시피카를 개조한 모델로 요금은 승차공유 서비스업체인 리프트(Lyft)와 동일하다. 처음에는 돌발 상황에 대비해 운전석에 보조자가 타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2020년 11월부터는 운전석에 오퍼레이터가 타지 않는, 보다 완전한 의미의 자동 주행 서비스를 개시했습니다.

    웨이모의 자율주행차

    Waymo 웹사이트 (https://www w.waymo.com)

     

    ●중국 우한에 나타난 자율주행 로봇

    코로나19의 진원지인 중국에서는 자동 운전 로봇이 나타나 방역 및 물품 배송을 담당하기도 했습니다. 팬데믹이라는 극한상황에서 사람들이 스스로 하기 힘든 일을 자율주행차가 대신 해주는 모습은 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깊이 새겨졌습니다. 이럴 때 자율주행이 필요한구나, 사람들의 관심은 수요로, 그리고 투자로 이어집니다.

    코로나19 방역작업 중인 네오릭스 자율주행 로봇

    자료 : 네오릭스 웹싸이트 (http://www.neolix.cn)

     

    ●자율주행 기술, 누가 앞서나

    기업의 자율주행 기술 수준을 일률적인 기준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리서치 기관이나 언론에서 발표한 내용을 추정할 수는 있어요. 인용된 자료는 나비건 트리서치(Navigant Research) 자료인데 2020년 3월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1위는 구글 웨이모, 2위는 포드, 3위는 GM 크루즈로 나타났다. 순위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자동차 업체와 IT 서비스 업체의 대결 양상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업별 자율주행기술 수준 평가

    자료 : Navigant Research ( 20 20 . 3 ) , 「 Navigant Research Leaderboard : Automated Driving Vehicles 」

     

    한국은 언제 가능한가.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2020년 5월 1일부터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새로운 법률은 연구개발이 아닌 상용서비스를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도 대기업, 스타트업을 불문하고 많은 기업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업 중, 2020년 12월 카카오모빌리티가 세종시에서 국내 최초로 플랫폼 기반의 유상 자율주행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제가 실무 팀장을 맡고 있었습니다. 한국 자동차사에 한 획을 그은 의미 있는 사건이었다고 자부합니다. 앞으로도 서비스지역과 형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소비자 실수요를 담당하는 대안적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계획입니다.

    카카오 모빌리티 세종 자율주행서비스

    자료 : 카카오 모빌리티

    그리고 미래 시나리오는 현재 2022년 버전을 작업 중입니다. 앞으로 발간될 미래 시나리오 2022에도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 드립니다.

     

    필자 이재호 -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사업실 이사, 디지털경제연구소 소장 -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정책조정전문위원회 위원 - 대통령직속 고용위원회 민간고용위원회 위원 -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실무위원회 위원 - 세종특별자치시 스마트도시 추진본부 위원 - (전)현대경제연구원 비즈니스컨설팅실 산업정책실 연구위원 - (전)

    댓글

Designed by Tistory.